-
(책)코로나 19 블루 (한국 의사 시인회 )시집을 읽고나의 이야기 2020. 12. 14. 01:05
현대시학시인선055 ※. 이 책을 읽고 시 한편과 시인의 말을 몇 편 골라서 올립니다. / 김길순
● 서홍관 시인의 말
세상이 온통 바이러스 이야기다.
그들 미생물이 이 지구를 뒤덮는 주인이 맞다.
우리 인간들도 근신하고 이들과 같이 살아가는
지혜를 배워야한다.
어지러운 날에도 햇볕은 내리쬐고
바람은 불고,
제비꽃은 핀다는 것이 감사한 날이다.
-(현 국립암센터 근무, 한국금연운동연합회 회장)-
● 최예환 시인의 말
나라 안팎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혼돈과 슬픔의
도탄에 빠져있다. 혹여 나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병을 옮기지나
않을까. 혹여 저 사람이 나에게 병이나 옮기지 않을까 몸을 사리는
배타적 모습이 안타깝다. 이런 때일수록 마음을 추스르고 자신과
가족과 나의 환자를 지켜야 할 본분을 되새긴다. 별개의 개인이
모두 별이었으면..봄은 왔으나 봄이 이르지 아니함이 다만 슬프다.
-(한국의사시인호, 봉화제일의원원장)-
● 조광현 시인의 말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온 세계가 발칵 뒤집혔다. 로마서(성경)에“환난은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룬다,”고 했다. 이 어려운 시기에
이성부의 시<봄>의 시구로 시인의 말을 대신한다.-
기다리지 않아도 /기다림을 잊어버렸을 때도 너는 온다-
-(현, 온천사랑의 요양병원 병원장, 인제의대 명예교수)-
● 정의홍 시인의 말중에서
평생을 고독과 가난에 짓눌리면서도 자신의 모든 것을 그림에만 쏟은 화가 고흐는
발작을 일으키는 불안정한 육체와 극심한 정신의 고통 속에서도 자신의 생과 그림에
대한 희망의 불씨를 놓지 않았다. 온 나라가 코로나 괴질로 범벅이 되어 우울하게
가라앉는 이 봄날, 몇 편의 시로 가라앉는 우리의 마음을 건져낼 수는 없겠지만 고흐가
그렸던, 태양 아래서 노랗게 익어가던 밀밭처럼, 우리도 두 팔 벌리고 햇살 속에 누워
우리 몸과 마음 이곳저곳에서 푸릇푸릇 희망이 싹을 틔울 때까지 기다리고 싶어진다.
-(강릉 솔빛안과 원장)-
송정바다에서
정의홍
어느 태고적 부터 살아
이제껏 숨 쉬는 너는
탄생과 소멸의 아득한 원점
네 앞에 서면
지구 저쪽으로부터
누군가의 울음소리
끝도 없이 밀려오는데
바다를 휘젓던 큰 고래가부서진
조개껍질로 다시 태어나는 사이
만남과 이별의 굴레 속을 떠돌며
수천수만의 헤어집을
홀로 감하느라 너는
먼 억겁의 시간 뒤에도
그울음 그치질 못하겠구나
심귀희 작품 공감은 아래 하트를 눌러주세요.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나무 (0) 2020.12.18 조지훈 詩 <승무>外<낙화>두편 올립니다. (0) 2020.12.16 (문정희)詩 남편-외 한편 (0) 2020.12.12 명언을 올립니다. (0) 2020.12.11 임영조 시 <석류> (0) 2020.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