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조)가람 이병기 <난초>나의 이야기 2021. 2. 2. 00:05
난초
가람 이병기
한손에 册을 들고 조오다 선뜻 깨니
드는 별 비껴가고 서늘바람 일어오고
난초는 두어 봉오리 바야흐로 벌어라
빼어난 가는 잎새 굳은 듯 보드랍고
자주빛 굵은 대공 하얀 꽃이 벌고
이슬은 구슬이 되어 마디마디 달렸다
본래 그 마음은 깨끗함을 즐겨하여
정한 모래 틈에 뿌리를 서려두고
미진味塵도 가까이 하지 않고 우로雨露 받아 사느니라.
※
가람 이병기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난초)이다.
가람은 세 가지 복을 타고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 첫째가 난초복이요.
둘재가 제자 복이요.
셋째가 술복이라 했다.
그의 취미는 난초 기르기와 장서 모으기였다.
‘가람’은 ‘강’이란 우리말이니 온갖 샘물이 모이어 가람이 되고,
가람물이 나아가 바다가 된다. 그러면 그 샘과 바다 사이에 있는 것이다.
그 근원도 무궁하고 끝도 무궁하니 영원하며 골물 저 골물 합하여 진실로 떳떳함을 이루니
완전하며 산과 들 사이사이에 끼어 있어 물을 기름지게 하니 조화 함이다.
이세 가지 뜻을 붙이어 지음이라. 우리말로는 ‘가람’이라 하고 한자로는‘임당‘이라 하겠다.
◎미진( 微塵)-아주 작은 티끌 ◎우로 [雨露]-비와 이슬을 아울러 하는 말
● 가람 이병기연보(1891~1968)
1891.음 1.28 전북 익산군 여산면 원수리에서 변호사 이채의
장남으로 출생, 한성사범학교.
1925 <조선문단>에 '한강을 지나면' 발표
1939 <가람시조집> 발간
1940 <역대 시조선>과 <인현왕후전> 발간
1946 서울대학교 교수, 군정청, 편찬과장
1952 전북대학교 문리대학장
1955 중앙대학교 교수
1957 <국문학전사> 발간, 학술원 회원
1958 뇌일혈로 와병 중 향리로 귀향
1960 학술원 공로상 수상
1962 명예문학박사 학위 받음(전북대학교)
1966 <가람 문선> 발간(신구문화사),한국시조작가협회 초대회장
- 작성 김길순-
공감은 아래 하트를 누르시면 됩니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명언 몇 가지 (0) 2021.02.17 (詩)열매 오세영 (0) 2021.02.16 (詩)김광균의 설야 (0) 2021.01.29 (프랑스) 보들 레르 詩 (0) 2021.01.28 (詩)저작권-김철 (0) 2021.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