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일서정 (김광균)나의 이야기 2022. 11. 29. 00:01
추일서정
김광균
낙엽은 폴란드 망명 정부의 지폐
포화에 이지러진
도룬 시의 가을 하늘을 생각게 한다.
길은 한 줄기 구겨진 넥타이처럼 풀어져
일광의 폭포 속으로 사라지고
조그만 담배 연기를 내뿜으며
새로 두 시의 급행열차가 들을 달린다.
포플라 나무의 근골 사이로
공장의 지붕은 흰 이빨을 드러낸 채
한 가닥 구부러진 철책이 바람에 나부끼고
그 위에 셀로판지로 만든 구름이 하나.
자욱한 풀벌레 소리 발길로 차며
호올로 황량한 생각 버릴 곳 없어
허공에 띄우는 돌팔매 하나.
기울어진 풍경의 장막 저쪽에
고독한 반원을 긋고 잠기어 간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가을 풍경을 세련된 도시적 감각으로 형상화하여 이미지즘의 중요한
특성을 모범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동시에 이미지즘의
한계를 인식하고, 그것의 극복을 의식적으로 추구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지닌다.
-한민족 대백과 사전에서-
"낙엽은 폴란드 망명 정부의 지폐" 포화에 이지러진------'으로 시작되는 김광균의
시(詩)는 1940년에 쓰였습니다. 시인은 2차대전의 참화를 비판하기 위해 이 시를
썼습니다. 쇼팽의 음악을 고르다 떠오른 이 시를 머릿속에 그리며 나는 지금 포화로
이지러지고 있는 약소국 우크라이나와 그 우크라이나의 난민을 받아들여 도와주고
있는 폴란드의 지나간 역사를 생각합니다. 또한 39살의 짧은 삶을 고국을 떠나 살
수밖에 없었던 쇼팽과 그가 그렇게도 사랑했던 조국 폴란드의 약소국으로서의 비애를
다시 생각해봅니다. -옮겨온 글-
변종회 그림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이콥스키 발레, <백조의 호수>론을 읽고 (84) 2022.12.01 정비석의 <들국화>를 읽고 (75) 2022.11.30 계절의 끝자락에서 (84) 2022.11.28 민태원의 <청춘예찬>을 올립니다. (73) 2022.11.27 (시) 천지의 물을 길어 (67) 2022.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