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황진이의 알려진 시조 몇 편을 올린다.
    나의 이야기 2024. 6. 8. 00:36

     

       황진이의 알려진 시조 몇 편을 올린다.  

     

    <청산리 벽계수야>

    청산리 벽계수(
    靑山裏 碧溪水)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일도창해(
    一到蒼海)하면 돌아오기 어려우니
    명월(
    明月)이 만공산(滿空山)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冬至ᄉᄃᆞᆯ 기나긴 밤을>

    冬至ᄉᄃᆞᆯ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여
    春風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원문)

    <동짓달 기나긴 밤을>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베어내어
    춘풍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님 오신 날 밤이어든 굽이굽이 펴리라.(현대)


    <산은 옛 산이로되>

    산은 옛 산이로되 물은 옛 물이 아니로다.
    주야(
    晝夜)에 흐르거든 옛 물이 있을손가.
    인걸(
    人傑)도 물과 같도다.
    가고 아니 오는 것은.


    <어져 내 일이야>

    어져 내 일이야 그릴 줄을 모르던가.
    이시랴 하더면 가랴마는 제 구태어
    보내고 그리는 정은 나도 몰라 하노라.


    <청산은 내 뜻이요>

    청산(
    靑山)은 내 뜻이요
    녹수(
    綠水)는 님의 정이
    녹수 흘러간들 청산이야 변할손가.
    녹수도 청산을 못 잊어 울어예어 가는고.


    <相思夢 (상사몽)>

    相思相見只憑夢 (상사상견지빙몽)
    그리워라, 만날 길은 꿈길밖에 없는데

    ?
    訪歡時歡訪? (농방환시환방농)
    내가 님 찾아 떠났을 때 님은 나를 찾아왔네

    願使遙遙他夜夢 (원사요요타야몽)
    바라거니, 언제일까 다음날 밤 꿈에는

    時同作路中逢 (일시동작로중봉)
    같이 떠나 오가는 길에서 만나기를.

    *****

    황진이는 개성(송악)에서 출생한 여인으로 이름은 진, 또는 진랑이고 기생 이름은 명월이다. 생몰연대는 중종반정이 일어난 1506~1567년으로 추정한다. 역사 속 인물 가운데 소설이나 영화로 가장 많이 엮인 주인공이 황진이다. 그는 황 진사의 첩실 서녀였으며, 어머니는 진현금이라는 맹인 기생이란다. 그는 15세에 기생이 되는데, 서경덕(1489~1546)을 사모해 찾아갔다가 높은 인품에 감탄해 제자가 됐으며, 벽계수(碧溪守, 1508~?)를 후리기 위해 시조도 지었다.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우니/ 명월이 만공산할제 쉬어간들 어떠리.’ 말을 타고 지나가던 벽계수는 이 시조에 귀를 기울이다가 말에서 떨어졌다. 이때 황진이는 “명사가 아니라 풍류랑이구먼”이라고 하며 돌아가 버린다.는 예화도 있다.

     

    개성의 박연 폭포 구글 이미지 발췌

    "개성시의 박연리에 위치하고 있는 박연폭포는 높이 37m, 너비 1.5m이로, 성거산과 천마산 사이의 험준한 골짜기로 흘러내리는 맑은 물이 선바위에 부딪쳐 돌면서 박연에 담기였다가 바위벽으로 떨어지면서 폭포로 된다"고 전했다.

    출처 : SPN 서울평양뉴스(https://www.spnews.co.kr)  옮겨왔음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연명의 생애와 시의 세계  (156) 2024.06.10
    (시) 6월 / 김용택  (115) 2024.06.09
    오동나무는 천년을 늙어도 가락은 변함이 없고  (90) 2024.06.07
    (시) 놀다가자 外 너를 위해  (202) 2024.06.04
    (시) 유월  (136) 2024.06.03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