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 서시(西施)의 젖빛나의 이야기 2024. 3. 5. 16:01
월간문학 2024년3월호 <가당찮은 5개년 프로젝트?> 첫말미에 천창2 글
한편 올리고 나중 시조 다섯편 중 한편 더 올립니다.
천창(天窓) / 윤금초내 사는 도심 바깥
그 6층 옥탑방엔달빛도 세 들어 사는
옹색한 서재가 있다.썼다가 도로 지우는
글밭 가는 비상구 있다.옛 선비 길러냈다는
사가독서(賜暇讀書)는 언감생심베갯머리 포개둔 책
손때 절은 갈피도 있다.서시(西施)의 젖빛
윤금초
복사꽃
건듯 이울고
물살 가른다.
황복거사.
죽음과도 바꿀만한, 죽을 작정 하지 않곤 입맛 다시지 못할 검복 가시복
흰점복···. 입 안에서 사르르 녹는, 유별난 식감 주는 복어회는 후르르
혀가 절로 말리고 만다. 밀복 졸복 참복 황복 한 마리 독(毒)빼는데 서 말
석 되 물을 쏟는다. 골부림 지나친 녀석, 원래 성질 잘 내는 탓에 진어라거나,
슬슬 긁어 화 돋우면 배가 부풀기 땜에 기포어(氣包魚)라고 그런다. 하먼,
하먼···. 수컷 뱃속 흰빛 애는 서시의 젖빛이라, 중국 월나라 미인 서시의
젖빛이라, 뽀얀 뜨물 젖빛이라 서시유(西施乳)라 했다던가?
떡니 턱 드러낸 황복거사
소동파(蘇東坡)도 군침 흘렸대.
*******************************************************************※
월간문학 2024년 3월호에 이 시대 창작의 산실 / 윤금초 시조시인/ 무엇을 쓰고 있나-
가당찮은 5개년 프로젝트? 글과 대표작 5편중 한편을 골라 올렸다.
윤금초
전남 해남 화산 갑길리 출생.1966년 공보부 신인예술상 및 196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
현재 시조전문 교육기관 (사)민족시사관학교 대표.<정형시학>발행인.'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 가끔은 연필을 깎고 싶을 때가 있다 (168) 2024.03.07 시는 정신의 공기와 햇빛 (175) 2024.03.06 (시) 사랑의 습관 (170) 2024.03.04 (시) 베짱이 (184) 2024.03.03 김소월 시세계 (165) 2024.03.02